의학정보 - 귀의 해부학적 구조와 역할, 기능
본문 바로가기
BOOKS

의학정보 - 귀의 해부학적 구조와 역할, 기능

by 보고톡톡 2020. 7. 9.
반응형

우리의 귀는 신체의 감각기관 중 하나로 청각과 균형감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귀가 우리 몸의 평형을 잡아주는 기관이란 사실은 많은 이들이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그 원리에 대해서는 많이 알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귀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는 것으로 오늘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우리가 소리를 듣게 되는 과정에 대해 먼저 간단히 설명합니다.

 

귀는 크게 겉귀(바깥귀/외이), 가운데귀(중이), 속귀(내이)의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외부의 소리가 귀 안의 구조물들을 따라 차례로 전달될텐데요. 소리의 파동은 겉귀에 있는 고막에서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되고, 이 떨림이 다시 고막에 연결되어 있는 뼈 세 개를 진동시킨 다음 속귀로 전달되게 됩니다. 이 때 속귀안에 있는 림프액이 진동하면 미세한 청각 세포들이 움직이게 되고, 신경은 이 움직임을 전기적인 신호로 인식하여 그 것을 뇌로 전달합니다.

 

이 것이 바로 우리가 소리를 듣게 되는 과정입니다. 물론 글로 쓰다보니 이렇게 길어졌지만 사실 순식간에 이뤄지는 일이죠. 이제 개념을 잡았으니, 귀의  세 부위 각 구조물에 대해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귀의 구조(출처=www.uryagi.com)

 

겉귀(external ear)는 귀의 가장 바깥 부분으로서 우리 몸의 바깥에 돌출되어 있는 귓바퀴와 바깥귀로 이뤄져있는데요. 겉귀는 고막과 가운데귀를 보호하는 역할, 소리를 받아 고막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곳입니다. 우선 우리가 잘 아는 귓바퀴(auricle)는 그 구조상 소리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며 탄력연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귓바퀴 아래에 위치한 귓볼(혹은 이수/lobule of auricle)에는 연골이 없으며 모두 지방조직으로 되어 있습니다.

 

귓바퀴를 지나 바깥귀길(외이도/external acoustic meatus)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귓구멍이라고 표현하는 바깥귀구멍(외이공/external acoustic pore)을 지나 고막에 이르기까지의 터널을 바깥귀길이라고 부릅니다. 이 바깥귀길에 있는 때가 바로 귀지(cerumen) 입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여기 귀지가 지나치게 많으면 음파가 고막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해 고막에 연결된 뼈들을 진동시키지 못하고 결국 청력이 떨어지게 되는 겁니다. 

 

가운데귀(middle ear)는 관자뼈 내부에 있는 빈 공간으로서 공기로 채워져 있습니다. 가운데귀(중이)에는 고막(tympanic membrane), 고실(tympanic cavity), 귓속뼈(이소골/auditory ossicles)가 있습니다. 일단 가운데귀의 초입에 고막이 있습니다. 고막은 바깥귀길의 끝에 있는 타원형의 얇은 막으로, 그 크기는 대략 가로 9~10mm, 세로 8~9mm, 두께는 0.1mm 정도입니다. 소리는 고막을 거쳐 달팽이에 전달됩니다. 달팽이는 속귀에 속하는 기관이라 뒤에 다시 이야기합니다.

 

고실은 고막의 안쪽에 뼈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으로 얇은 점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바로 이 고실 안에 세 개의 작은 뼈가 있는데, 그게 귓속뼈(혹은 이소골) 입니다. 귓속뼈 세 개를 각각 망치뼈(추골/malleus), 모루뼈(침골/incus), 등자뼈(등골/stapes)라고 부릅니다. 이 중 망치뼈는 고막에 붙어 있어서, 고막의 진동을 속귀로 전달하는 구실을 하며, 모루뼈는 고막의 진동을 달팽이로 전달하는 기능을, 등자뼈는 모루뼈와 안뜰창 사이를 연결하고 있습니다.

 

귀의 해부학적 구조(출처=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속귀(inner ear)는 귀의 가장 안쪽 부위로서 청각과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구조물입니다. 속귀를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를 미로(labyrinth)라고 하며, 미로에는 청각을 관장하는 달팽이관과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반고리관 등이 위치해 있습니다. 속귀의 구조 내에는 회전감각을 담당하는 반고리관, 위치감각을 담당하는 안뜰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들에 대해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미로는 단단한 골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으로, 속귀가 미로에 속해 있는 겁니다. 미로를 구성하는 단단한 뼈로된 벽을 뼈미로(bony labyrinth), 그 속에 있는 관을 막미로(membranous)라고 합니다. 감각기로서 중요한 것이 바로 이 막미로인데, 여기에 속귀의 신경섬유가 분포하고 있습니다.

 

막미로의 반고리관(semicircular duct)은 반고리뼈관 속에 있는 세 개의 관으로, 이 속에 림프가 있어 그 움직임에 따라 몸의 평형감각이 느껴지게 됩니다. 달팽이(와우/cochlea)는 소리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바꿔 신경을 거쳐 대뇌에 전달하는 핵심 기관으로 이 안에 달팽이관(cochlear duct)이 있습니다. 달팽이관은 각각 림프로 가득찬 세 개의 방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가운데귀를 거쳐 들어온 소리의 진동을 속귀신경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사진출처=아이클릭아트)

 

설명드린 속귀의 한 두 기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더라도 우리 몸은 균형감을 잃고 비틀거리고 어지럼증을 느끼게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귀에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이나 증상에 대해 학습해보겠습니다. 귀에 대해 이야기한 김에 귀지 얘기로 오늘 포스팅을 마무리해볼까 합니다. 앞서 귀지는 바깥귀길에 있는 '때'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바깥귀길에 있는 분비샘들로부터 만들어지는 귀지. 우리가 귀지를 더러운 물질이라고 여기지만, 사실 이 것은 우리를 돕고 있는 물질입니다. 귀지는 유입된 외부 물질, 즉 먼지를 붙잡은 다음 바깥으로 밀려나오게 되고, 건조되면서 귀에서 떨어져 나오게됩니다.

 

혹시 귀지를 억지로 끄집어 내려고 면봉 같은 것을 귀 속에 집어넣어 쑤셔대는 분들이 있을까봐 말씀드리는데, 정말 최악입니다. 일단 면봉 같은 막대기는 귀의 표피층을 건드려 외이도염이나 세균감염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무엇이 되었든 간에 막대로 귀속을 후벼 파면 귀지는 더 깊숙히 들어갑니다. 빠져 나오는 귀지가 전부가 아니란 겁니다. 깊숙히 파고든 귀지는 결국 우리가 소리를 잘 듣지 못하도록 만듭니다. 그 때야 비로소 귀지가 '더러운 물질'이 되는 셈입니다. 

반응형

댓글